본문 바로가기
검색엔진마케팅(SEO,SEM)

구글 애널리틱스 UA 와 GA4

by 검색엔진최적화 SEO,SEM 2024. 7. 24.
반응형

구글 애널리틱스 UA와 GA4 

구글 애널리틱스(UA)와 구글 애널리틱스 4(GA4)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식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.

애널리틱스GA4


데이터 집계 방식

UA : UA는 세션 기반으로 데이터를 집계한다. 세션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단위다. UA는 페이지뷰, 이벤트, 소셜, 거래 등의 다양한 히트 타입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.

GA4 :GA4는 이벤트 기반으로 데이터를 집계한다. 모든 사용자 활동을 이벤트로 간주하며, 페이지뷰도 이벤트의 일종으로 처리됩니다. 히트 타입의 제한이 없어 다양한 사용자 활동을 보다 유연하게 추적할 수 있다

 

세션 집계 방식

UA : 새로운 캠페인이 시작되거나 자정이 되면 새로운 세션이 시작된다. 이는 같은 사용자가 여러 세션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.

GA4 :  세션은 session_start 이벤트를 기준으로 측정되며, 새로운 캠페인이 시작되거나 자정이 되더라도 세션이 갱신되지 않습니다. 따라서 GA4에서는 UA보다 세션 수가 적게 집계될 수 있다.

사용자 참여측정

UA :이탈률(Bounce Rate)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참여도를 측정한다.

GA4 : 참여율(Engagement Rate)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참여도를 측정합니다. 참여 세션은 10초 이상 머무르거나,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, 페이지 조회수가 2회 이상 발생한 세션을 의미한다.

데이터 분석 자율성

UA : 정해진 보고서 형태로 데이터를 제공하며, 사용자 맞춤형 분석의 유연성이 제한적이다.

GA4 :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높은 자율성을 제공합니다. 탐색 분석, 퍼널 분석, 리텐션 분석 등 다양한 분석 기능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.

데이터 스트림

UA :속성별로 별도의 추적코드 필요하다.

GA4 : 하나의 속성에 여러 데이터 스트림 통합이 가능하다.

데이터 통합 및 이벤트 수집

UA : 웹 데이터와 앱 데이터를 별도로 수집한다.

GA4 : 히트 데이터의 제한이 없어 보다 많은 데이터를 자유롭게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.

 

히트 데이터 제한

UA : 한 달에 최대 1000만 히트 제한이 있으며, 이를 초과하면 유료화가 필요하다.

GA4 : 히트 데이터의 제한이 없어 보다 많은 데이터를 자유롭게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.

어트리뷰션 모델

UA : 기본 어트리뷰션 모델이 제한적이다. 

GA4 : 데이터 기반 어트리뷰션 모델을 기본으로 하며, 다양한 어트리뷰션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. 머신 러닝을 통해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터치포인트를 분석한다.

 

GA4가 UA보다 더 유연하고 심층적인 데이터 분석을 가능하며,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사용자 활동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볼 수 있다.

 

 

* 세션(session) :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떠날때까지의 일정기간동안의 상호작용을 의미

 

 

반응형